"문제 콘텐츠 왜 방치하나…네이버 뉴스 편집권 폐지해야"
- hyeonju
- 2024년 8월 16일
- 1분 분량
네이버와 유튜브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가짜뉴스 유통 폐해를 살피고 해결방안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현재 네이버 등 포털이 제공하는 편향적 형태의 뉴스 서비스 개선과 함께 뉴스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6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가짜뉴스 방치하는 플랫폼! 공적책임 강화 정책토론회’에서다. 이번 토론회는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이 주관하고,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와 미디어미래비전포럼이 주최했다.
발제를 맡은 김용희 경희대 미디어대학원 교수(오픈루트 전문위원)는 ‘네이버와 가짜뉴스:대형 포털의 뉴스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를 통해 “네이버는 여전히 많은 사용자가 뉴스를 접하는 주요 경로로서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유지 중”이라며 “이런 변화는 미디어 다양성과 공정거래 측면에서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네이버에 가짜뉴스가 범람하는 이유로 △트래픽 유도 △광고수익 극대화 △여론 형성에 대한 영향력 유지 △정치적 영향력 등을 지적하며 포털이 직접 뉴스를 편집하거나 배치하는 편집권을 폐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포털의 획일적인 뉴스 배치 대신, 사용자의 선택권을 강화하고 다양한 관점의 뉴스 소비 촉진을 위해 뉴스 배열을 사용자에게 맡기는 ‘사용자 중심의 뉴스 배치’ 방안을 제언했다.
김 교수는 “현재 포털이 제공하는 편향적 형태의 뉴스 서비스를 개선해 언론의 자유와 뉴스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변경이 필요하다”며 “포털의 과도한 영향력을 줄이고 다양한 언론사들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노력 등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용희 오픈루트 연구위원
출처 : 미디어펜(https://www.mediapen.com)
Comments